본문 바로가기
What's new

6.3 대선 후보 이재명 한동훈 안철수 홍준표 등 핵심공약 비교

by 아우라뎐 2025. 4. 17.
반응형

 

2025년 6월 3일에 예정된 대한민국 대통령 보궐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파면 이후 치러지는 중대한 선거입니다. 현재 주요 정당과 후보자들은 각자의 공약과 비전을 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아래는 주요 후보자들의 배경과 핵심 공약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​


🔷 이재명 (더불어민주당)

  • 배경: 전 경기도지사이자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한 이재명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. 그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주도하며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경제 성장과 불평등 해소: 정부 주도의 기술 및 인재 개발 투자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,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겠다는 계획입니다.
    • 외교 정책: 미국 및 일본과의 동맹을 유지하되,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용적 외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    • 사회 통합: 정치적 양극화를 해소하고 국민 통합을 위한 정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
🔴 한동훈 (국민의힘)

  • 배경: 전 법무부 장관이자 국민의힘 전 대표인 한동훈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계엄령 선언에 반대하며 당내 개혁파로 부상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법치주의 강화: 검찰 출신으로서 공정한 법 집행과 반부패를 강조하며, 법치주의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.
    • 정치 개혁: 당내 개혁과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정치 시스템 개선을 약속하고 있습니다.

🔵 안철수 (국민의힘)

  • 배경: 의사 출신의 IT 기업가로, 과거 대선에 출마한 경험이 있는 안철수 후보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다시 도전하고 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과학기술 중심 경제: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과학기술 투자와 창업 지원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.
    • 청년 지원: 청년층의 주거,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
🟡 홍준표 (국민의힘)

  • 배경: 전 대구시장으로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정치인인 홍준표 후보는 이번 선거를 자신의 정치 인생의 마지막 도전으로 선언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보수 가치 수호: 전통적인 보수 가치를 지키며, 국가 안보와 경제 안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    • 정치 개혁: 정치권의 기득권 타파와 개혁을 위한 강력한 리더십을 약속하고 있습니다.

🟢 김재연, 한상균 (진보당 및 사회변혁노동자당)

  • 배경: 진보 진영의 대표 주자인 김재연 전 의원과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동자 중심의 사회 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노동자 권익 강화: 비정규직 철폐와 노동시간 단축 등 노동자 권익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
    • 사회적 불평등 해소: 부의 재분배와 사회 복지 확대를 통해 불평등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입니다.

🟣 권영국, 한상균 (정의당 및 진보 연합)

  • 배경: 정의당의 권영국 대표와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진보 연합 후보로서 사회 정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기후 위기 대응: 탄소 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계획입니다.
    • 사회적 약자 보호: 장애인,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
🟤 황교안 (무소속)

  • 배경: 전 국무총리이자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황교안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를 선언했습니다.
  • 핵심 공약:
    • 선거제도 개혁: 공정한 선거를 위한 제도 개선과 부정선거 방지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약속하고 있습니다.
    • 보수 통합: 보수 진영의 통합과 재건을 위한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
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치러지는 만큼,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고 국가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선택하는 중요한 선거입니다. 각 후보자들은 경제, 외교, 사회 통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며, 유권자들의 선택이 대한민국의 향후 5년을 결정하게 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