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교육

로스쿨 입학 조건 주요 대학별 특징 비교 전략 포인트

by 아우라뎐 2025. 10. 13.
반응형

1. 로스쿨 입학의 공통 조건 (법률 기준 + 일반적 기준)

로스쿨 제도는 “법학전문대학원의 설치·운영에 관한 법률” 등 법령 체계 하에 있고, 대부분 대학에서는 아래와 같은 공통 기준을 요구해.

항목요건 / 기준설명 / 유의사항
학사학위 취득 혹은 동등 학력 국내외 정규대학 학사학위 소지자 또는 동등 학력 인정자 독학사, 학점은행제 등을 통해 법령상 학사학위 동등 학력 인정이 가능하다는 안내가 있는 경우도 있음. 로스쿨타임즈+1
법학적성시험 (LEET) 지원 연도에 실시되는 LEET 응시 + 성적 제출 LEET는 언어이해, 추리논증, 논술 영역 포함. 대학별 반영방식이 다름. 로스쿨타임즈+2로스쿨타임즈+2
공인 외국어 시험성적 TOEFL, TEPS, IELTS, TOEIC 등 일정 기준 이상 점수 제출 (혹은 지원 최소 기준) 일부 대학은 “지원 자격 기준”으로만 활용하거나 P/F 방식으로 반영함. 예: 서울대 로스쿨은 접수 마감 기준 2년 이내 TEPS/TOEFL 성적 제출 요구함.
학부성적 (GPA, 평점 환산) 학부 전 학년 성적 반영 (평점 / 백분위 환산) 평점이 낮으면 불리하며, 일부 대학은 환산 기준이 까다로움. lawschool.korea.ac.kr+2로스쿨타임즈+2
서류 및 자기소개서 / 활동 경력 자기소개서, 사회활동·봉사활동, 독서/논문/강의 경험 등 법률가로서의 소양·적성 강조됨. 부모 직업 등 개인식별정보 제한 규정 있는 대학도 있음. 로스쿨타임즈+2로스쿨타임즈+2
면접 / 구술고사 1단계 선발 이후 면접 또는 구술고사 진행 (2단계 전형) 논리력, 태도, 표현력, 법률적 사고력 등을 평가함. law.snu.ac.kr+2로스쿨타임즈+2
전형 유형 (일반 vs 특별전형) 일반전형 + 특별전형 구분 특별전형에서는 일정 자격 (장애인, 보훈대상자, 지역인재 등) 요건을 완화하거나 우대하는 대학이 있음. 로스쿨타임즈+2lawschool.korea.ac.kr+2

2. 주요 대학별 특징 비교 (예: 서울대, 고려대, 연세대)

아래는 몇몇 상위권 대학들의 입학전형 특징, 배점 구조, 반영 요소 차이 등을 정리한 것들이야.

대학주요 특징 / 입학요강 포인트배점 / 반영 요소 / 차이점
서울대 로스쿨 학사학위 + 법학적성시험 + 영어 성적 요건 있음 law.snu.ac.kr 입학요강에서 전형요소별 배점: 적성시험 60점, 학업성적 60점, 정성평가 80점, 구술면접 50점 등 (총 250점 기준) law.snu.ac.kr
고려대 로스쿨 전형요강 자료에서 학부성적 + LEET + 영어 + 서류 평가 반영 비율 공개됨 lawschool.korea.ac.kr 일반전형: LEET / 학부성적 / 자기소개서 + 구술면접 (서류전형 → 구술면접) 방식. LEET는 200점 만점, 논술(P/F) 방식 등. lawschool.korea.ac.kr
연세대 로스쿨 배점 구조가 블로그 / 비교 자료로 일부 공개됨  전형 요소별 명목 반영률 예시: LEET 150점, 학부성적 150점, 공인영어 100점, 구술면접 50점 등 (총 450점 기준) 

예를 들어, 연세대 로스쿨 일반전형의 경우

  • 1단계: LEET + 학부성적 + 공인영어 + 서류 평가
  • 2단계: 면접 / 구술고사 반영
  • 배점 기준에서 LEET와 학부성적이 중요 비중을 차지함. 

3. 대학별 차이 요인 & 전략적 고려 포인트

입학 조건은 같아 보여도 실제 합격 가능성에는 대학별 “미묘한 차이”들이 있어. 이를 잘 파악하고 전략 세우는 게 중요해.

차이 요인설명 / 영향전략적 포인트
출신 대학 우대 / 내부생 유리 일부 대학은 자교 졸업생 비율이 높다는 분석이 있음 (예: 서울대 로스쿨 합격자 중 서울대 출신 다수) sgsg.hankyung.com 같은 대학 출신이면 네트워크 / 교수추천 등이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 있음
전공 영향 법학계열이 아닌 전공도 지원 가능하지만, 법학 관련 과목 수강 내역이 도움이 됨 비법학 전공자라도 법 관련 교과목 이수하거나 법률 관련 활동 경험 쌓는 게 유리
영어 반영 방식 차이 어떤 대학은 단순 지원자격 요건으로만 영어 점수를 요구하고, 일부는 반영 점수로 산정 영어 점수 준비는 기본, 점수 우대 대학을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활용
전형별 배점 구조 LEET vs 학부성적 vs 면접 / 서류 비중이 대학마다 다름 자신의 강점을 반영해 대학 선택 (예: 시험형 강자 → LEET 비중 높은 대학 공략)
특별전형 제도 장애인, 보훈, 지역인재, 비법학교 졸업자 등 특별전형 비율 및 요건이 대학마다 다름 해당 특별 전형 요건 충족 가능성 있는 경우 전략적으로 활용
지원 가능 대학 수 / 군 배치 제약 일부 대학은 가군/나군 배치 제도가 있고, 같은 군에서 지원 제한이 있음 군별 대학 배치 전략 잘 짜야 함 (예: 가군 1개, 나군 1개 등)

📊 최근 합격자 스펙 비교 (정량 요소 중심)

아래는 LEET 점수, 학점(환산 점수 또는 백분위 환산치) 등의 정량 요소 중심 자료야.

대학연도정량 요소 / 평균 또는 분포특징 및 참고사항
서울대 로스쿨 2021~2023 LEET 평균 약 58.14 ~ 58.44 (정량 요소 기준) / 학점 평균 58.07 ~ 58.29 (정량 환산)  서울대는 영어 성적은 P/F (기본 자격 조건) 형태로 반영됨 
고려대 로스쿨 2023 학점 평균 환산점수 일반전형 ≈ 197.367 점 (정량 요소) / 상위 25% 지점 일반전형 ≈ 198.320 점 kulawschool.korea.ac.kr 고려대 입시자료에서 LEET, 학점, 언어/추리 점수 등 정량 요소 배점 구조가 공개됨 kulawschool.korea.ac.kr+2kulawschool.korea.ac.kr+2
서울대 로스쿨 2022 정량평가에서 LEET 평균 57.97점, 학업성적 평균 58.13점 / 상위 75% 컷 LEET 약 57.13점, 학업성적 약 57.66점 EBSI 정량평가 요소별 평균 및 분포가 기사로 보도됨 EBSI
서울대 로스쿨 2022 (출신 대학 배경) 총 151명 중 SKY 출신 비율 93.4% (서울대 + 고려대 + 연세대 출신 중심) 리걸타임즈 출신 대학 배경이 극도로 편중되어 있음 (소위 명문대 출신이 다수) 리걸타임즈
고려대 로스쿨 2023 SK Y 출신자 비율 82.1% (신입생 123명 중 SKY 출신 101명) lec.co.kr 공개 자료에서 출신 대학 쏠림 현상이 또 강조됨 lec.co.kr

🧠 분석 / 시사점 & 전략적 포인트

위 스펙들을 보면서 눈여겨볼 만한 점과 전략 팁은 다음과 같아:

  1. 정량 요소가 매우 치열함
     - LEET 점수나 학점 환산 점수 차이가 소수점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많고, 상위 컷의 차이가 미세할 수 있음.
     - 서울대의 경우 LEET 평균이 58점대 전후이고, 상위 25% 컷도 약 59점 근처임. 
  2. 출신 대학 쏠림이 큼
     - 고대 로스쿨 신입생 123명 중 SKY 대학 출신이 82.1% lec.co.kr
     - 서울대 로스쿨의 경우 합격자 중 93.4%가 SKY 출신 대학 출신임 리걸타임즈+1
     - 즉 출신 대학 브랜드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로 보임.
  3. 영어 점수 반영 방식이 대학마다 다름
     - 예: 서울대 로스쿨은 영어 성적은 기본 자격 요건 수준으로만 반영되고, 점수 반영 비중에는 포함 안 되는 방식이 있음 
     - 고려대는 LEET, 학점, 정성요소 + 영어 / 논술 일부 반영 방식이 FAQ 자료에 나와 있음 kulawschool.korea.ac.kr
  4. 정성 요소 / 면접 / 자기소개서가 변별력 갖는 부분
     - 정량 요소(LEET, 학점)에서 크게 뒤처지는 건 거의 불리하겠지만, 동일 수준 후보들 간 차별화는 주로 정성 평가(자기소개서, 사회 활동, 법률 관련 활동)나 면접 구술고사 쪽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큼.

 

🏛 대학별 합격자 스펙 사례 비교

대학공개 자료 출처 / 연도주요 스펙 / 지표비고 / 해석
고려대 로스쿨 “2023학년도 법전원 입학전형 최종합격 선발자 통계자료” • 정원 123명 (일반전형 + 특별전형) kulawschool.korea.ac.kr
• 정량요소 평균: 학점환산 점수 197.367점, 언어(어학) 점수 78.832점, 추리 점수 118.482점 등 kulawschool.korea.ac.kr
• 상위 25% 컷: 학점 198.320, 언어 79.400, 추리 119.400 등 kulawschool.korea.ac.kr
• 출신대학별 분포: 고려대 출신 합격자 비중 약 47.2% (58명 중) kulawschool.korea.ac.kr
고려대는 스펙 공개를 꽤 투명하게 하는 편이고, 정량 요소 세분화된 데이터가 있음. 출신 대학 쏠림 경향도 있음.
서울대 로스쿨 블로그 / 입시 분석 자료 • LEET 점수 기준 예: 합격자 수기 중 하나가 표준점수 160.8점 기록됨 lec.co.kr
• 서울대 입시조건 안내 블로그에는 LEET 상위 25% 58.96점, 50% 58.16점, 75% 57.13점 등 수치 제시됨 
• 학점 평균: LEET + 학점 배점 방식 기준 학점 평균 58.13점 등 제시됨 
• 모집 인원 및 경쟁률: 2023년 기준 경쟁률 2.76 : 1 (일반전형 139명 모집, 지원 374명) 
이 자료들은 공식 입학전형 공고보다는 수험생 / 블로그 분석 자료 쪽이니까 오차 감안해야 함. 그래도 대략 감 잡는 데 유용함.
고려대 (출신대학 분석 사례) 언론 기사 / 입시 분석 • 2021학년도 고려대 로스쿨 지원자 통계: 국내외 27개 대학에서 총 330명 지원 → 합격자 124명 (고려대 자교 출신 60명) lec.co.kr
• 연령별 합격률 추이: 20대 지원자 합격률 높고, 30대 이상은 낮은 합격률 경향 있음 lec.co.kr
이건 출신대학 / 나이 통계 중심 자료라 정량 스펙은 일부만 포함됨.
전국 로스쿨 / 일반 동향 로스쿨타임즈 기사 • 2025학년도 로스쿨 원서 접수 경쟁률 5.75 : 1 로스쿨타임즈
• 로스쿨 입시 전형 요소 비중 변화: 여러 로스쿨의 정량 평가 비중 평균 약 69.0% 수준 lec.co.kr
전체 흐름 감 잡는 데 도움이 됨. LEET / 학부성적 쏠림 심하다는 분석 많음.

🔍 정리 & 한계 & 제언

  • 고려대는 가장 구체적인 정량요소(학점환산점수, 언어/추리 점수 등)를 공개하고 있어 스펙 분석하기 좋음.
  • 서울대 쪽은 공식 공시보다 수험생 / 블로그 / 분석 자료 위주로 스펙이 알려져 있어서 오차 가능성 있음.
  • 출신 대학 쏠림 / 나이 차별 경향 등이 일부 통계에서 드러나 있음 (예: 고려대에서 20대 합격률이 높음) lec.co.kr
  • 로스쿨 입시 전형 요소 중 **LEET(법학적성시험)**과 **학부성적 / GPA(환산 학점 점수)**의 중요성은 여전히 매우 큼.
  • 정량 스펙만큼이나 **정성 요소(자기소개서, 사회경험, 법률 관련 활동, 면접/구술 역량)**가 변별력 있는 경우가 많음.
  • 경쟁률이 전국적으로 계속 상승 추세임: 2025년 원서 접수 경쟁률 5.75 : 1 기록됨 로스쿨타임즈

 

 


📈 서울·고려·연세 로스쿨 최근 합격자 스펙 비교 요약

아래는 공개된 자료들을 종합해서 나타난 서울·고려·연세대 로스쿨 합격자들의 정량적 요소 평균치 및 상위 컷.

대학LEET 평균 / 상위25~50~75% 점수학업성적 (GPA 또는 환산) 평균치영어 성적 평균 또는 분포 (TOEIC 등)
서울대 LEET + 언어이해 + 추리논증 영역 합산 평균 약 133점대 (PLS 조사) m.mk.co.kr 학점 4.5 만점 기준 약 4.08 매일경제+1 TOEIC 평균 약 950점대 매일경제
고려대 상위25~75% 지점 LEET 표준점수 / 백분위 기준 약 137점대 (언어+추리 합산) First-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학업성적 상위25% 지점 환산점수 약 98.8% (즉 거의 만점 가까이) First-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영어성적도 대부분 합격자들이 TOEIC 900~1000 사이 또는 그 이상에 분포됨 매일경제+1
연세대 LEET 평균 + 상위25~75%컷도 비슷하게 서울대/고려대와 근접한 수준, 예를 들어 2021-2023년 일반전형 정량 요소 평균 LEET 약 140-143점대 (언어+추리 표준점수 합산) 호기심 반짝 학점 평균도 정량요소 점수 환산 시 매우 높은 수준 (상위 25~50% 컷이 대부분 높게 나옴) 호기심 반짝+1 영어 조건도 TOEIC 900 이상이 많고, TOEIC 950대도 꽤 있음 매일경제

 

LEET 점수 언어 + 추리논증 영역에서 상위 25% 컷 이상 점수 획득 가능하도록 준비 기출 문제 + 모의고사 많이 풀기, 시간 관리 연습, 오답 분석, 약점 영역 보강(논리 추리 / 독해 속도)
영어 성적 TOEIC 900이면 기본은 되지만 상위 대학에서는 950점대 이상이 우대를 받을 가능성 있음 영어 듣기 / 읽기 / 고난도 문제 집중, 리스닝 & 리딩 약한 부분 보강, 해외 경험 또는 영어 논문 독해 등 보여줄 수 있는 경험 준비
서류 / 자기소개서 / 활동 경력 법률 관련 경험, 독서 / 논문 / 인턴 / 토론 / 모의재판 / 봉사 등 법조인으로서의 소양 표현 필요 법률학 관련 독서 및 서평, 관련 수업 / 강의, 법률 봉사활동 또는 민원 상담 또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참여, 모의재판 대회 등
전공 관련 보강 비법학 전공이라면 법학 기본 소양 보여주는 수업 또는 자율 공부 / 세미나 참여 헌법 / 민법 / 행정법 기본 교재 공부, 법률 관련 공개강의 / 온라인 강의 수강, 법률 논문 읽기
면접 / 구술고사 준비 논리적 사고력, 표현력 연습, 최신 이슈 / 법조 관련 시사 이해도 높이기 스터디 그룹, 모의 면접, 토론 연습, 본인이 생각하는 법률 이슈 정리, 대표 질문 대비

 
반응형